세상 읽기 - 경제 시사 사회

24.05.24 (금) 부동산 뉴스 헤드라인 모음

미츄츄 2024. 5.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츄츄입니다. 

주요 부동산 관련 뉴스 헤드라인 모아 드립니다. 

부동산 뉴스 헤드라인 모음

 

[부실PF도미노] '책준' 폭탄 24조 ... 떨고 있는 부동산 신탁사 - 뉴스 톱

 

[부실PF도미노] '책준' 폭탄 24조…떨고 있는 부동산신탁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부동산신탁사들이 24조원 규모의 PF 폭탄을 떠안을 위기에 처했다. '책임준공' 보증을 선 사업장들이 하나 둘 부실화되며 금융권에서

www.newstof.com

 

부동산PF 대책에 신음하는 건설업계 "공급 위축 우려" - 이데일리

 

부동산PF 대책에 신음하는 건설업계 “공급 위축 우려”

정부가 ‘연쇄 부도’ 우려가 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대해 각종 대책 마련에 착수한 가운데 건설업계에선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

m.edaily.co.kr

 

이복현 "부동산 PF 정상화 방안으로 금융사 리스크 없을 것으로 자신" - 연합 인포맥스

 

이복현 "부동산PF 정상화 방안으로 금융사 리스크 없을 것으로 자신" - 연합인포맥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방안으로 금융사로의 쏠림이나 부실, 리스크 초래 가능성은 없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 원장

news.einfomax.co.kr

 

[통계로 본 부동산] 집값 상승 굳히기?... 서울 집값,수급, 심리 모두 올랐다 - 아주경제

 

[통계로 본 부동산] 집값 상승 굳히기?...서울 집값·수급·심리 모두 올랐다 | 아주경제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바닥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가격은 물론 매수 심리, 아파트 거래량 등 집값 관련 지표가 일제히 상승하면서 집값 상승 신호탄을 위...

www.ajunews.com

 

[박지청 부동산 컬럼] 총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 FN TODAY

 

[박지청 부동산칼럼] 총선 이후 부동산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 파이낸스투데이

총선 이후의 부동산시장 향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야권의 압승으로 인해 정부가 공약한 부동산 관련 입법 과제가 중단될 우려가 있다. 임대차 2법 폐지,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 실거주 의

www.fntoday.co.kr

 

미, 30년 모기지 금리 7% 붕괴 ...재반등 전망 - 글로벌 이코노믹 

 

미, 30년 모기지 금리 7% 붕괴...재반등 전망 -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부동산 시장 흐름을 좌우하는 30년 고정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모처럼 7% 밑으로 떨어졌다.그러나 조만간 다시 7%대로 복귀할 것이란 전망이 높다.고금리에 따른 매물 부족 속에 부진

www.g-enews.com

 

 

 

 

성장률 높인 한은 ... 멀어진 금리인하 - 서울신문 

 

성장률 높인 한은… 멀어진 금리인하

올 성장률 전망 2.1%→2.5% 상향 기준 금리 3.50% 동결… 11회 연속, 상반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연 한국은행이 11차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통화긴축 기조를 다시 이어 갔다. 물가상승 압력이

www.seoul.co.kr

 

한은 총재는 불확실해졌다지만... 증권사, 연내 금리인하 무게 - 조선비즈

 

한은 총재는 불확실해졌다지만… 증권사, 연내 금리인하 무게

한은 총재는 불확실해졌다지만 증권사, 연내 금리인하 무게

biz.chosun.com

 

 

 

Summary

  • 부실 부동산PF 떠안은 부동산신탁사들의 책임준공 사업장 PF 대출 잔액이 24조를 넘어가고 있는 실정 속에, PF 부실이 터지만 책임준공 보증을 선 부동산신탁사가 모두 떠안게 되는 구조로, 이 부동산신탁사들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적자 기록
  • 연쇄 부도 우려가 큰 PF사업장에 대해 정부가 각종 정책 마련 착수, 오는 7월부터 직접 현장 점검하겠다는 대책 발표
  • 국토부가 지난 3월말에 발표한 지원책에 대해 업계에서는 실효성 의문, 되려 손실을 늘리는 식이라 공급만 위축시킬 우려 지적 
  • 고금리에 따른 매물 부족으로 미 주택 시장 성장 둔화세 당분간 지속 예상되며, 조만간 7%금리 회복할 것
  • 올 경제 성장률 전망 2.1%에서 2.5%로 상향, 기준금리는 3.50%로 11회 연속 동결되었고, 미 FOMC 인사들의 매파적 발연 등 국외 사정이 더 나빠진 만큼 무리해서 먼저 금리 인하 할 필요도 없고 내리는 것도 시기상조라는 의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