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읽기 - 경제 시사 사회

[국제 정세] 이란 - 이스라엘 전쟁 사태 정리 및 예상 (ft. 매불쇼 왕선택 김종대 성일광 버전)

미츄츄 2024. 4. 17.
반응형
[목차]

1. 4.13 이란의 공격 양상 정리 
2. 4.13 이란-이스라엘 교전예 특징 및 해석 
3. 향후 시나리오 - 최악 혹은 최선? 
4. 마무리 

 

안녕하세요 미츄츄입니다. 

 

이스라엘이 이란을 먼저 공격해서 이란의 군인이 7명이 사망한 것으로 시작된 이란-이스라엘 사태가 지난 13일 밤 이란의 보복공격으로 다시 정세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이란-이스라엘 교전 양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에 미칠 영향 및 향후 시나리오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1. 이란 교전 양상 정리 

 

4.13. 밤 기준 이란에서 340발 정도의 드론과 미사일을 이스라엘 본토 내 위치한 공군 기지에 발사했습니다. 

 

[발파 순서]

1파 - 드론 170대 (샤헤드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사용됨)  ← 느리기 때문에 교란용

2파 - 순항미사일 20발 ←  느리기 때문에 교란용 

3파 - 탄도 미사일 150발 ←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종결자 

 

2. 4.13 이란 공격의 특징 및 해석 

위 이란의 교전 양상 정리 부분에서 집중을 하셔야 할 중요한 포인트는 이 발파 방식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던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이 바다에서는 이지스함 그리고 공중에서는 전투기 등을 사용해서 이를 막아주었고, 미국뿐만이 아니라 여러 국가들 (영국, 프랑스,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함께 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공격을 막아 주었습니다.  그 결과로 이란 공격의 99%가 요격되고, 극히 일부인 10발 정도가 이스라엘 공군 기지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여기서 또 보셔야 할 특징은 이란이 인구가 밀집된 거주지역이 아니라 공군기지에 발파를 한 것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이스라엘에 떨어진 1%의 공격으로 인해 이스라엘은 이번에 실질적으로 큰 인명 피해는 없다고 합니다. 

 

하여 매불쇼 김종대님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못 막았으나 이번 이란-이스라엘 사태에서는 미국 등 여러 국가가 공격을 막았다는 것 그리고 이번 방어 성곡으로 인해 얻은 교훈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NATO에서는 우크라이나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원을 해 줄 수 있을지 배웠을 것) 

 

3. 이스라엘 보복 가능성과 최종 시나리오

 

 

이스라엘 보복 가능성 그리고 이란의 재공격 가능성은 확실

 

이스라엘 베냐민 예탄나후 총리는 "우리는 무조건 보복 한다"는 입장을 내었고, 빠르면 이번 주에 이스라엘에 반격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최대한 방어가 되어 있는 곳에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전면전보다는 제한적인 보복 하지만 최대한 고통스럽게 보복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보복을 하면 이란도 마찬가지로 공격할 가능성 매우 크다고 합니다: 이란은 3000발의 탄토미사일이 아직 있다고도 하고요. 

 

이렇게 왔다 갔다 하게 되면 끝이 없겠네요. 

 

미국의 개입 가능성

 

이란-이스라엘 전쟁이 확전 되면 미국이 - 개입하기는 싫겠지만 - 직접 개입할 수 밖에는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겠지만, 미국은 이란-이스라엘 전쟁의 확전을 원치 않기 때문에 최악이 상황이 벌어지지 않는 이상 자제를 하지 않겠냐는 전망입니다. 

 

 

우리나라에 영향 - 호루무츠 해협

 

호루무츠 해협을 통해 LNG 가스, 석유 (우리나라 공급량의 70%)가 우리나라에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라 - 이란-이스라엘 사태가 확전이 된다면 우리나라의 가스, 석유 수급에도 아주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란과 이스라엘이 이번 전쟁을 통해 각자 계산기를 두드리면서 비용도 따져보고 인명피해 정도, 정치, 외교 상황 등도 고려해 보아야 하겠습니다만, 일단 이스라엘이 반격을 결정하고 이를 공표한 상태이고 이란에서도 아직 공격을 멈출 만한 명분도 없기 때문에 당분간은 이란-이스라엘 사태는 좀 더 악화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