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이를 부탁해에 나오신 김경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생각해 볼 포인트들이 조금 있네요.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미츄츄입니다.
입주물량 폭탄이라며 매매, 전세, 월세 매물이 싼 가격에 넘쳐나던 지역들에서도 이제는 매물 찾기가 조금씩 어려워지고 있고 가격도 이미 오를때로 올랐습니다.
곧 전세계약이 만료되어 이사를 가야할 분들, 새롭게 전세, 월세 매물을 알아보고 있는 신혼부분들, 반대로 전세, 월세를 내놓으려고 하시는 임대인 분들이 궁금해 하실 향후 전세가 변동은 어떻게 될까에 대한 전문가의 진단내용을 정리해 왔습니다.
2022년을 제외하고 전세가 떨어진 적은 없었다.
전세가격변동률
전세가격이 오르고 있는 이유 3가지
1.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월세폭등이 반드시 일어나는데 전세는 월세의 대체이기때문에 전세의 수요가 올라가기 때문에 같이 올라간다.
2. 아직 터지지 않은 부동산 PF 사태
부동산 PF쪽 상황이 어려운 건 다들 알고 있다. 그런데 정부에서 이걸 그냥 바로 정리하고 문제를 해결 즉 그냥 아예 터트려야 했는데, 정책으로 계속 지연시키고 있게 되면서 떨어져야할 토지 가격이 안 떨어지게 되서 부동산 개발량이 줄어들게 되었고 25년~27년에 부동산 공급이 많이 줄어 들 것이다 .
3. 빌리포비아
빌라보다 상위라고 볼 수 있는 아파트로 이사를 가는 성향이 생겨나고, 그렇게 되면서 아파트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세가 올라갔다
현재 월세가 전세거래보다 더 많아지게 된 것도 증거 (원래 전세 월세 2:1이나 역전된 상태)
현재 물량이 부족한 것은 아파트 물량
서울 부동산은 계속 오를까? YES
- 서울 부동산 공급은 항상 부족하다
- 직주근접은 불변 - 편의 생활 인프라, 학군 등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을 빼고는 크게 차이가 없으나 직주근접은 달라지지 않는다. 서울 내 업무지구인 광화문, 여의도, 강남, 상암, 구로 가산, 홍대 합정, 성수가 있는데 이 근처 지역의 부동산 상승은 시간 문제이다
- 상대적으로 서울,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방과의 부동산 가격격차는 더 커질 것이다
향후 전망
- 현재 공급량 등을 고려해 보면 전세가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자연스럽게 월세가격도 같이 올라가겠네요)
- 초저출산이 문제가 되더라도 문제가 되는 것은 지방이지 서울아니다. 항상 인구가 몰리는 곳이기 때문이다.
결론
- 전세제도가 존재하는 한 전세가격은 계속 오른다
- 전세가격 상승이 장기화 되면 결국 부동산가격도 오를 것이다
- 인플레이션이 있을 때 제일 좋은 투자처는 부동산이다
'세상 읽기 - 경제 시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저 시급 및 최저 임금은 어떻게 될까? - 13대 최저임금위 시작 (33) | 2024.05.13 |
---|---|
[자본주의 시리즈] 부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기본- 모든 돈은 빚이다 (41) | 2024.05.05 |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 시 시장에 미치는 영향 (43) | 2024.05.02 |
[부동산 헤드라인 분석] 2024년 4월 마지막 주 - "부동산 시장 상황 매우 심각합니다" (52) | 2024.05.01 |
FOMC 미 연준 기준 금리 - FOMC 미팅 일정, 발표 날짜 및 시간, 현재 미국 금리 확인 방법, 발표 라이브 시청 링크 등 (40) | 2024.05.01 |
댓글